호기심에 찾아봄
밈(meme): 그리스어 '미메시스 '(모방) - 영어의 mimic (흉내) 로 이어진듯
itsmeboy
2020. 9. 3. 22:58
밈이란 생물학적 유전자(gene)처럼 개체의 기억에 저장되거나 다른 개체의 기억으로 복제될 수 있는 ‘문화적 유전자’를 의미한다. 모방 등 비유전적 방법으로 후세에 전달되는 문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모방을 뜻하는 그리스어 ‘미메메(mimeme)’에서 비롯됐으며, 1976년 영국의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그의 저서 『이기적 유전자』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다. 도킨스는 문화가 전달될 때도 유전자처럼 복제 역할을 하는 중간 매개물이 필요한데 이 역할을 하는 정보의 단위 ・ 양식 ・ 유형 ・ 요소가 밈이라고 설명했다.
밈은 한 사람의 뇌에서 다른 사람의 뇌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변형되고 세대나 계층을 초월해 진화한다. 대표적인 밈의 사례로는 음악, 사상, 패션, 건물 양식, 광고, 즐길 거리 등이 있다.
밈은 인터넷에서 유행을 타고 널리 퍼지는 문화적 요소를 일컫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인터넷 신조어나 유행어, ‘짤방’(온라인 게시판에 내용과 관계없이 추가하는 재미있는 사진) 따위를 예로 들 수 있다.